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챗GPT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리
- 산림기사
- 제미나이
- 오블완
- perplexity
- 나는도서관에서기적을만났다
- 습관의힘
- 탐라측량개발
- 블로그
- 피터드러커경영수업
- 측량기능사실기
- 티스토리챌린지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이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프
- 구글제미나이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
- 병원회계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버
- 하영하영
- 측량기능사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엄
- STEPBOOK
- ChatGPT
- 제가좀숫자에약해서
- 개간허가
- 챗-gpt
- Chat-GPT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stepbook월구독료100원
- 산림기사필기
- Today
- Total
STEPBOOK
측량기능사 실기 마지막 정리!!! 본문
측량기능사 실기 마지막 정리!!!
내일은 측량기능사 실기 마지막 날입니다!
시험 보기 전 정리해 봅니다!
I. 레벨측량
1 다리는 최대한 높이 해줍니다.
(왜냐하면 너무 낮게 하면 스타프 묶은 선이 숫자를 가려진 것을 보게 될 수도 있으니까요!)
(단, 망원경이 자신의 키보다 높으면 안되겠죠!)
2 최소한 왕복 6회를 실시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먼저 1회 측정할 위치를 잘 선점해 줍니다.
(예를들면, 0(후시), 1, 2, 3, 4(마이너스로 표시), 5번(이기점 - 기계를 2회 측정할 위치에서 후시가 되는 점)
스타프가 잘 보이는 곳에 레벨 측량기를 설치합니다.)
(물론 시험장에 맞게 0, 1, 2, 3번이 될 수도 있습니다.)
3 선점한 곳에서 레벨 측량기의 수평을 맞춰줍니다.
(수평을 맞출때는 다리 길이를 조절해서 대략 판을 평평하게 한 상태에서
나사를 이용해 기포가 원 안에 들어오게 합니다.
3개의 나사 중 1개를 자신의 몸에 가까이에 위치시켜 줍니다.
<자신의 가까이에 있는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기포는 아래로 내려갑니다.>
다른 나사 2개는 자신의 몸에서 멀리 수평되게 합니다.
<다른 나사 2개를 동시에 자신의 몸에 가까이 있는 쪽에서 왼쪽 나사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오른쪽 나사는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기포는 오른쪽으로 갑니다.>
4 기포가 원 안에 들어간 상태, 즉 수평이 맞춰지면,
먼저 빠르게 0번 부터 5번까지 나무나, 끈이 걸려 숫자가 보이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걸리는 것이 없다면 5번부터 측정한 값을 적습니다.
(만약 걸리는 것이 있다면 다른 곳에 설치해서 모든 스타프의 숫자가 잘 볼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측정 값을 적을 때는 예를들면, 5번 측정값이 111이면 111cm 즉, 1.110m 입니다. 그러므로 1.110이라고 이기점에다 적습니다.)
<스타프 읽는 법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해 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epbook/sb/contents/231015235552305ok
5 5, 4, 3, 2, 1, 0번 측정값을 야장에다 적어 줍니다.
(5번은 이기점, 4번은 마이너스, 3~1번은 중간점, 0번은 후시에다 적어줍니다.
연습할때 한번 측정값을 적고 다시 한번 보고 맞는지 확인했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먹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볼때 잘 보고 측정값을 적으면 좋을 것 같아요.
연습할때 고친 것이 많이 없었고 고치더라도 0.001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주의할 것은 망원경의 십자선이 총 3개가 나옵니다.
맨위에 작은 십자가 그리고 가운데에 긴 십자가 그 아래 작은 십자가 입니다.
측정할 값을 볼때는 가장 긴 가운데 큰 십자가로 측정을 해야 합니다!)
6 이런식으로 2회때 5, 6, 7 / 3회때 7, 8, 9, 10 / 4회때 10, 9, 8, 7 / 5회때 7, 6, 5 / 6회때 5, 4, 3, 2, 1, 0번의 스타프의 측정값을 야장에 적어줍니다.
(단, 4, 7번은 마이너스 이므로 조심합니다.
5, 7, 10번은 이기점인 동시에 후시 입니다.
즉, 2번 측정해야할 곳이 이기점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epbook/sb/contents/241109125948354oe
7 다 야장에 적었으면 계산을 해야 합니다.
(0번 높이(주어짐) + 0번 후시 = 0번 기계고,
1번 높이 = 0번 기계고 - 1번 중간점,
2번 높이 = 0번 기계고 - 2번 중간점,
3번 높이 = 0번 기계고 - 3번 중간점,
4번 높이 = 0번 기계고 - 4번 중간점,
5번 높이 = 0번 기계고 - 5번 이기점,
5번 높이 + 5번 후시 = 5번 기계고,
(그런데 주의할 것은 시간이 없다고 생각될때 5번 후시 대신에 5번 이기점을 더하는 경우도 있고,
5번 높이 + 5번 후시를 6번 높이에다 적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6번 높이 = 5번 기계고 - 6번 중간점,
7번 높이 = 5번 기계고 - 7번 이기점,
7번 높이 + 7번 후시 = 7번 기계고,
8번 높이 = 7번 기계고 - 8번 중간점,
9번 높이 = 7번 기계고 - 9번 중간점,
10번 높이 = 7번 기계고 - 10번 이기점,
레벨 2 야장에 레벨 1 야장에서 구한 10번 높이 그대로 적음,
10번 높이 + 10번 후시 = 10번 기계고,
9번 높이 = 10번 기계고 - 9번 중간점,
8번 높이 = 10번 기계고 - 8번 중간점,
7번 높이 = 10번 기계고 - 7번 이기점,
7번 높이 + 7번 후시 = 7번 기계고,
6번 높이 = 7번 기계고 - 6번 중간점,
5번 높이 = 7번 기계고 - 5번 이기점,
5번 높이 + 5번 후시 = 5번 기계고,
4번 높이 = 5번 기계고 - 4번 중간점,
3번 높이 = 5번 기계고 - 3번 중간점,
2번 높이 = 5번 기계고 - 2번 중간점,
1번 높이 = 5번 기계고 - 1번 중간점,
0번 높이 = 5번 기계고 - 0번 이기점.
1번 최학값 = (레벨 1 야장 1번 높이 + 레벨 2 야장 1번 높이 ) / 2
(그런데 계산기로 계산하기 보다 대략 비슷하면 그 중간값을 적으면 됨.
예를들면, 레벨 1 야장 1번 높이가 1.001, 레벨 2 야장 1번 높이가 1.002인 경우 1.002로 최학값을 적으면 됨.
왜냐하면 그 둘을 합친 것을 나눈 다음에 반올림한 값이 1.002이기 때문)
(주의할 것은 최학값은 0번이 없다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ynx2li3i7zA
II. 토탈스테이션 측량
1 다리 길이를 가슴 높이에 맞추고 A점 지점에서 구심을 맞춥니다.
(연습할 때 땅이 건조하고 단단하면 구심 맞추고 수평 맞추고(수평을 맞출때 한개의 다리는 고정한 채 나머지 2개의 다리로 수평을 맞춤) 디지털 기포 맞추는 것이 쉽지 않더라구요.)
(구심은 맞았는데 수평을 맞추다보면 구심이 흐트러집니다. 그럴 지라도 삼각형 안에 들어오면 나사를 풀어서 조정이 가능하지만 안 그러면 다시 세워야 합니다.)
(디지털 기포를 맞추더라도 구심을 보면 약간 흩어지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그러면 구심을 조정하면 또 전자기포가 차이가 나서 다시 맞춰야 합니다.)
2 디지털 기포와 구심을 다 맞춘후에는 셋팅을 해줘야 합니다.
(프리즘 상수 -30을 입력하라고 감독관이 지시하는 경우는 광파설정에서 PC를 -30으로 설정합니다.)
(좌표측정 -> 본체설치에서 주어진 A점의 x, y좌표를 N과 E에 입력을 해줍니다.
또한 BS각도에서 HA-R에 방위각을 입력해줍니다.
<예를들면 방위각이 155도 45분 30초면 155.4530 입력>
여기서 ok 지금 설정하면 안됨!
단, 설정 전에 P점의 프리즘 중앙을 시준<시준시 좌우 맞추고 상하 맞추면 쉬움>한 후(이때는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움직이지 않게 잠가줍니다.)에 설정을 누르고 좌표를 측정(좌표측정에서 관측을 누르고 측정)하고 P점 좌표를 야장에 적습니다.
왜냐하면 P점을 시준하지 않고 설정하면 그 지점의 방위각이 되지 P점의 방위각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프리즘 중앙을 시준하는 것은 십자선이 거울 중앙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프리즘 바깥의 위, 오른쪽에 있는 화살표 선과 십자선을 맞추면 됩니다.)
(그 후 A점 교각을 측정하기 위해 각도를 0으로 맞춘 후(0세트 2번) 잠근 것을 풀고 B점을 시준 후 잠그고 그 교각을 야장에 적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해 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epbook/sb/contents/231014230856050rv
3 토탈스테이션을 A점에서 B지점으로 옮겨줍니다.
(옮길 때는 선이나 구심을 건드리지 않게 해야 하고, 잠근 것을 모두 풀어줘야 합니다.
그리고 다리에 세운 기계를 삼감형 중앙에 잘 위치시켜 줍니다.)
B지점에서 A점에서 했던대로 구심점, 수평, 디지털 기포를 맞추고 B교각을 측정하고 야장에 적어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해 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epbook/sb/contents/240313223028876am
4 토탈스테이션을 B지점에서 C지점으로 옮겨줍니다.
(B지점에서 했던 것처럼 C지점에서도 구심점, 수평, 디지털 기포를 맞추고 C교각을 구하고 야장에 적고
E점 프리즘을 시준하여 거리를 측정<HD거리>하고 야장에 적습니다.
화면에 거리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가 있는데, 잘 찾아봅니다.)
5 토탈스테이션을 C지점에서 A지점으로 옮겨서 제자리에 갖다놓고 야장에 적힌 것을 근거로 계산합니다.
(A점 방위각 = 주어진 방위각 + 측정한 A교각,
B점 방위각 = A점 방위각 - 180도 + B교각,
C점 방위각 = B점 방위각 - 180도 + C교각,
A점 위거 = 측선 AB 거리(주어짐) X cosA방위각,
<계산기 이용시 cos(A방위각) 괄호 할 필요없이 그대로 cosA방위각 하면 됩니다.>
A점 경거 = 측선 AB 거리 X sinA방위각,
B점 위거 = 측선 BC거리(주어짐) X cosB방위각,
B점 경거 = 측선 BC거리 X sinB방위각,
C점 위거 = 측선 CQ거리(측정한 값) X cosC방위각,
C점 경거 = 측선 CQ거리 X sinC방위각,
B점 합위거 = A점 합위거 + B점 위거,
C점 합위거 = B점 합위거 + C점 위거,
Q점 합위거(Q점 X좌표) = C점 합위거 + Q점 위거,
B점 합경거 = A점 합경거 + B점 경거,
C점 합경거 = B점 합경거 + C점 경거,
Q점 합경거(Q점 Y좌표) = C점 합경거 + Q점 경거.
PQ거리 = 루뜨 ( (Px - Qx)제곱 + (Py - Qy)제곱 )
(계산할 때도 위의 순서대로 그대로 입력하면 됨)
https://blog.naver.com/mind0map/223633138286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epbook/sb/contents?categoryId=18b23e83672000hef
'공유경제 및 경제(Economy) > 측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기능사와 측량기능사의 차이점은 뭘까요??? (4) | 2024.11.18 |
---|---|
측량업 등록요건 중에 트랜싯이 있는데, 트랜싯이 뭐지??? (2) | 2024.11.09 |
stepbook, 측량기능사 실기 복습 3 - 토탈스테이션 다리를 세운 후 토탈스테이션 몸통 연결할 때 주의할 점! (0) | 2024.08.06 |
stepbook, 측량기능사 실기 복습 2 - 토탈스테이션 세운 후 프리즘 상수 -30으로 설정하기!!! (0) | 2024.08.02 |
stepbook, 측량기능사 실기 복습 1 - 레벨측량기 사용법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