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TEPBOOK
- 블로그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stepbook월구독료100원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리
- 티스토리챌린지
- 제가좀숫자에약해서
- 탐라측량개발
- 제미나이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프
- 오나의실수
- perplexity
- 개간허가
- 지도제작기능사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버
- ChatGPT
- Chat-GPT
- 챗-gpt
- 구글제미나이
- 산림기사필기
- 병원회계
- 측량기능사실기
- 하영하영
- 산림기사
- 챗GPT
- 실수
- 습관의힘
- 피터드러커경영수업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이
- 오블완
- Today
- Total
목록공유경제 및 경제(Economy)/이 산지를 내게 주소서! (4)
STEPBOOK

제주도에서는 한라산이 1,950m로 높은데, 세르비아는 어떤 산이 가장 높은지 그리고 몇 m인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챗-gpt에게 글을 써달라고 해서 옮깁니다. 저의 생각과 느낌은 (괄호)에 담았어요. https://tv.naver.com/h/70139487 STEPBOOK세르비아 최고봉 미리치 산에 도전하다!tv.naver.com세르비아에서 가장 높은 산, 미디즈르(Midžor)의 모든 것!세르비아에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산들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높은 산은 바로 미디즈르(Miџор, Midžor) 입니다! 해발 2,169m의 높이를 자랑하는 이 산은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국경을 따라 위치한 스타라 플라니나(Stara Planina) 산맥의 일부입니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천혜의 자..

부정형판석도라는 말을 들었는데 무슨 말인지 몰라서 챗-gpt에게 글을 써달라고 해서 옮깁니다. 저의 생각와 느낌은 (괄호)에 넣었어요!부정형판석도란 무엇인가요?조경 전문가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부정형판석도입니다. 부정형판석도는 조경 및 건축에서 자주 사용되는 독특한 포장 방식으로, 자연적인 미와 실용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그 이름처럼 일정한 형식이 없이 불규칙한 모양의 판석(Flagstone)을 사용해 시공하는 방식인데요,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느낌을 살릴 수 있습니다. 부정형판석도의 매력자연스러움 부정형판석도는 일정한 패턴 없이 시공되기 때문에 마치 자연 그대로의 풍경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특징은 정원, 공원, 산책로, 그리고 전원주택과 같은 공간에..

소나무재선충병??? 뭐지!!! 그리고 재선충병은 왜 활엽수에는 없는거지? 요즘 산림기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까지만 기존 과목으로 시험을 보고 2026년에는 새로 과목이 바뀌고 시험유형도 바뀐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소내무재선충병이 많이 나오는데 한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챗gpt의 답변을 참고했습니다. 소나무재선충병?- 재선충이라는 작은 벌레가 소나무의 영양과 물을 운반하는 통로를 막아버려 소나무를 시들게함- 솔수염하늘소라는 곤충이 옮김(즉, 솔수염하늘소가 재선충을 소나무로 옮겨줌,즉 재선충이 솔수염하늘소 몸 안에 있다가 나무에 알을 낳을 때 침투)- 예방약제를 뿌리거나 감염된 나무를 제거해야 합니다. 참고 : 1 재선충은 주로 소나무에게 피해를 주지만 비슷한 속 나무에게도 영향을 줍니다.(잣..

update- 24.9.8https://blog.naver.com/mind0map/223633364042 초지조성허가, 초지전용신고에 관한 것 모음!!!초지조성허가, 초지전용신고에 관한 것 모음!!! 초지의 기능? blog.naver.com 입목본수도가 뭐지?- 입목의 본수나 재적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산림조사서 안에 입목본수도가 포함이 됨(산림조사서는 3D, 입목본수도는 2D로 생각하면 쉬움. 산림조사서는 좀 여유가 있고 입목본수도는 좀 까다로움, 개발행위에서 입목본수도를 봄, 입목본수도는 면적의 %로 보는 것이 아닌 기준에서 %가 되는지를 봄)- 660m2 이상의 산지 전용에 적용 산지관리법 시행령 [별표 4] 산지전용허가기준의 적용범위와 사업별, 규모별 세부기준(제20조제6항 관련) 참고하세요!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