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구글제미나이
- 오나의실수
- 챗-gpt
- 탐라측량개발
- 제미나이
- Chat-GPT
- 챗GPT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리
- 피터드러커경영수업
- 산림기사
- 측량기능사실기
- ChatGPT
- 병원회계
- 블로그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프
- perplexity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stepbook월구독료100원
- 오블완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버
- 개간허가
- 습관의힘
-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월구독료100원
- 지도제작기능사
- 사라봉
- 제가좀숫자에약해서
- 산림기사필기
- 실수
- 티스토리챌린지
- STEPBOOK
- 하영하영
- Today
- Total
목록대학교(University) 및 학과 (14)
STEPBOOK

전기공학과에서 수학은 어느 정도 해야 하고 무엇을 배우고 졸업후 취업은 어떨까??? 자녀 진로를 위해 한번 알아봤습니다.왜냐면 제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구글 제미나이에게 물어봤고 전기공학과를 다니고 있는 후배에게 물어봐서 정리해 봤습니다. 전기공학과에서는 수학을 어느 정도 공부해야 할까요?- 미분과 적분 그리고 그 이상을 공부해야 합니다.- 미분은 전류나 전압 변화를 분석할 때, 적분은 에너지 계산이나 신호의 변환을 분석할 때 사용합니다.- 확률과 통계는 신호 처리, 통신 시스템 설계 등에서 노이즈와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해 씁니다.- 선형대수, 복소수에 대한 이해가 중요 고등학교때 배운 수학 수준은 확률과 통계인데, 대학교때 수학을 따라갈 수 있을까요?- 고등학교때 확률과 통계를 배웠다면 수학적 기..

토목공학과에서 수학은 어느 정도 해야 하고 무엇을 배우고 졸업후 취업은 어떨까??? 학과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아들이 생각이 있다고 해서 알아본다.일단, 구글 제미나이에게 물어봤다.그리고 토목공학과를 졸업하신 지인분에게 물어봤어요!그리고 정리해 본다. 1 토목공학과에서 미분과 적분을 쓰는가?- 쓴다.- 미분 :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할 때 쓰임(순간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데 쓰임)- 적분 : 면적, 부피 등 누적된 양을 계산하는 데 사용(예를들면, 토량이나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할 때 쓰임) - 역학 과목에서 이론을 설명할 때 미적분이 들어감(미적분은 주로 공식을 도출할 때 쓰임실제 시험에서는 도출된 공식을 외원서 계산기로 문제를 품)(토목공학 계산시에는 미적분보다는 삼각함수 많이 씀) 2 미분, 적..

버스에서 앉아 있는 외국인에게 앉아도 되는지 물어보려면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오늘 버스를 탔는데요.보통은 물어보지 않고 자리가 비면 그냥 앉습니다. 그런데 외국인이 옆에 앉아있는 경우, 영어로 말해보고 싶을때 어떻게 말해야 할까 한번 생각해 봤습니다. 'Do I seat here?' 전 이런식으로 생각했죠. 그런데 좀 이상해서 구글 제미나이에게 물어봤습니다. 정리해보면,1 "Is this seat taken?"(가장 간단합니다.)(우선 이것만 기억해야 겠어요. ^^) 2 "Do you mind if I sit here?"(간단하지 않지만, 어렵지도 않네요.) 3 "Excuse me, would it be alright if I sat here?"(그런데 여기서 sat 과거형으로 썼는지는 이해가 안..

"이탈리아 공립 고등학교로 전학을 가고 싶어 비자 신청을 하려고 합니다."위의 한글 문장을 밑의 영어로 만들었습니다. "I wanted to apply for a visa as I want to transfer to a public high school in Italy." 여기서 무엇을 고쳐야 할까요?wanted -> want: The desire to transfer to a school in Italy is still current, so the present tense is more appropriate. wanted -> want: 이탈리아 학교로 전학하고 싶은 마음은 현재에도 유효하므로 현재 시제가 더 적절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IFhp1J3kY ..